목록BE (13)
치악산 복숭아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기 위해서는 input() 메서드를 이용 추가적인 안내 문구가 필요하다면 괄호 안에 문자열을 입력 a = input() # >>> a b = input("이거는 b예요! =>") # >>> 이거는 b예요! => banana print(a, b) # a banana 어떤 것을 입력하든 문자열로 입력되기 때문에 형변환(Casting)이 필요할 수 있다 float 실수형으로 변환 int 정수형으로 변환 str 문자열로 변환 hex 16진수로 변환 oct 8진수로 변환 bin 2진수로 변환 tuple 튜플로 변환 list 리스트로 변환 ord 유니코드 값으로 변환 chr 유니코드 값을 문자로 변환
1. 인덱싱(Indexing): 해당 인덱스의 문자열을 가져오는 것 # 인덱싱 greeting = "HelloNicetoMeetYou" print(greeting[5]) # N 2. 슬라이싱(Slicing): 일정 구간의 문자열을 가져오는 것 형태: 변수이름[시작인덱스:종료인덱스+1] 시작인덱스가 생략됐다면? 처음부터 종료인덱스가 생략됐다면? 마지막까지 # 슬라이싱 greeting = "HelloNicetoMeetYou" print(greeting[5:9]) # Nice
0. + - * / 일반적인 사칙연산 1. ** # 제곱하기 print(3**2) # 9 print(2**10) # 1024 2. // # 몫 연산 print(8//4) # 2 print(312//6) # 52 3. % # 나머지 연산 print(3%2) # 1 print(89 % 3) #2
* DDL(데이터 정의어,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객체를 생성, 변경, 제거하는 역할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테이블명( 필드명1 타입 [NULL | NOT NULL] [DEFAULT] [AUTO_INCREASE], 필드명2 타입 [NULL | NOT NULL] [DEFAULT] [AUTO_INCREASE], 필드명3 타입 [NULL | NOT NULL] [DEFAULT] [AUTO_INCREASE], ...... PRIMARY KEY(필드명) ); NULL 또는 NOT NULL로 속성값의 빈 값 허용 여부를 지정할 수 있음 DEFAULT 키워드와 함께 입력하지 않았을 떄의 초기값을 지정할 수 있음 AUTO_INCREMENT로 번호를 따로 입력하지..